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무공해차 전기차 보조금 대상 신청 방법

by 픽픽베스트 2025. 8. 17.

요약 — 전기차·수소차 등 무공해차 구매 시 국고 + 지자체 보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신청하며, 예산은 선착순 소진됩니다. 차량 등록 후 의무운행 2년을 준수해야 환수 위험이 없습니다.

1) 지원 대상과 차종

  • 대상: 개인·법인·공공기관(신규 구매)
  • 차종: 전기승용, 전기화물, 전기이륜, 수소전기 등(환경부 인증 차종)
  • 가격 상한: 고가 차량 제외(정책 고시 가격 기준)

2) 지원 금액(개요)

차종 국고(예시) 지자체 추가(예시) 비고
전기승용 최대 약 680만 원 지역별 100~500만 원 보급 대수·예산에 따라 변동
전기화물 최대 약 1,800만 원 지역별 차등 영세사업자 우대 정책 사례
수소전기 최대 약 2,250만 원 지역별 차등 충전 인프라 고려 필요

※ 실제 금액은 매년 고시·지역 예산에 따라 달라집니다. 구매 전 해당 연도 공고를 확인하세요.

3) 신청 절차

  1. 차량 계약 — 대리점과 계약서 작성(출고 예상일 확인)
  2. 온라인 신청무공해차 통합누리집 접속 → 보조금 신청서 입력
  3. 서류 심사 — 신분증, 계약서, 등본, 필요시 추가 자료 제출
  4. 승인 통보 — 예산 배정·지급계획 확정
  5. 차량 등록/지급 — 등록 완료 후 보조금이 판매사로 지급되어 구매가에서 차감

4) 필수 서류

  • 신분증(개인) 또는 사업자등록증(법인)
  • 차량 구매 계약서
  • 주민등록등본/초본
  • 기타 지자체 요구 서류(위임장 등)

5) 유의사항

  • 선착순: 예산 소진 매우 빠름 — 분기 초/공고 직후 접수 추천
  • 출고 지연: 출고가 늦어지면 해당 연도 예산이 마감될 수 있음
  • 의무운행: 보통 2년 — 조기 매각/폐차 시 환수
  • 지역 제한: 거주지 지자체 기준으로만 보조금 지급

👉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바로가기

Q&A

Q1. 중고 전기차에도 보조금이 있나요?
일부 지자체가 별도 사업으로 지원하지만, 국고 신차 보조금과는 제도가 다릅니다. 해당 지역 공고를 확인하세요.
Q2. 타 지역에서 등록하면 더 많이 받을 수 있나요?
불가합니다. 거주지 지자체 기준으로만 보조금이 책정됩니다.
Q3. 법인·개인 조건이 다른가요?
서류 종류와 배정 기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 법인은 사업자등록증, 차량 용도 증빙 등이 추가로 필요합니다.
Q4. 보조금은 현금으로 제 통장에 들어오나요?
대부분 판매사로 지급되어 차량 구매가에서 차감됩니다.